8월부터 25개 전 자치구청사에 무더위쉼터 운영… 폭염특보시 주말·공휴일까지 확대

역대급 폭염 속 무더위쉼터 3,770여 곳 운영… 25개 구청도 8월부터 쉼터로 활용
역대급 폭염 속 무더위쉼터 3,770여 곳 운영… 25개 구청도 8월부터 쉼터로 활용

[미디어한국] 역대급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도서관 등 공공시설과 은행 등 생활밀착시설, 경로당 등을 활용한 무더위쉼터 3,770여 곳을 차질 없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오는 8월 1일부터는 25개 자치구 구청사와 시민 방문이 많은 시립 청소년센터 10곳 등 총 35개 시설도 무더위쉼터로 추가 개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쉼터 21개소도 운영 중이다.

무더위쉼터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점검 체계도 가동하고 있다.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25개 자치구의 자체 점검반이 도서관, 복지관, 경로당 등 서울 시내 총 3,700여 곳의 무더위쉼터를 대상으로 운영시간과 개방 여부를 매일 1회 이상 확인한다.

이와 함께 시·구 합동점검, 서울시 특별점검을 통한 방문 점검도 수시로 추진하고 있다.

방문 점검에서는 쉼터의 냉방 상태, 안내 표지 부착 여부, 시민 이용 편의 등을 포함한 운영 전반을 살핀다.

무더위쉼터별 운영시간과 위치는 서울시 재난안전정보 포털 ‘서울안전누리’에서 확인 가능하고 이외 폭염 대응 시민행동요령, 기상 특보 현황 등 폭염 관련 종합 정보도 알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시는 시민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6월부터 무더위쉼터 정보 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스티커를 동주민센터, 복지관 등에 배포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카메라로 QR코드를 촬영하면, 가까운 무더위쉼터와 그늘막, 쿨링포그, 쿨링로드 등 폭염저감시설 위치도 알 수 있다.

한편 시는 무더위쉼터 외에도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하고 체감온도를 낮추기위해 시원한 그늘막과 쿨링포그와 쿨링로드 등 폭염저감시설도 운영, 도심 온도를 낮추고 시민들의 시원하고 안전한 보행환경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도시의 특성을 반영, 넓은 도로에 효과적인 쿨링로드는 도로에 직접 물을 뿌려 아스팔트 노면 온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한여름 지면 기준 온도를 7~9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한병용 시 재난안전실장은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는 시민 누구나 일상 속 가까운 곳에서 안전하게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무더위쉼터를 확대하고 있다”며 “청소년센터나 구청사에 조성한 무더위쉼터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하니 더위를 피하실 분은 누구나 편하게 방문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미디어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