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중기도 회향식과 산사음악회… 추모·문화·나눔 어우러진 행사
● 절물 약수암, 전쟁영웅 기리는 뜻 모아 산사음악회로 지역민과 함께
[미디어한국] 워커장군父子추모사업회(회장 최문호)가 주관하는 2025년 백중기도 천도재 회향식과 제8회 산사음악회가 지난 9월 14일 제주 절물 약수암에서 열렸다.
워커장군 父子추모사업회 제주지부는 2023년부터 절물약수암(주지 세능 스님)에서 ‘K-메모리얼(K-Memorial) 캠페인’을 시작해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을 기리고, 그 뜻을 세계와 나누는 추모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천도재와 산사음악회 역시 그 일환으로, 추모와 감사, 그리고 문화와 나눔이 어우러진 따뜻한 행사로 마련됐다.
절물 자연휴양림 속에 자리한 약수암은 1950년 창건된 이래 치유와 힐링의 공간으로 사랑받아왔다. 그러나 2022년 큰 화재로 법당이 전소되는 아픔을 겪었다. 현재 주지 세능 스님과 사부대중은 무료 국수 공양을 이어가며 사찰 재건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창건주 대각 스님은 ‘한라산 기인’으로 불리며 큰 깨달음을 얻은 스승으로, 1922년 탄생해 2017년 열반했다. 지금도 그 정신은 약수암 곳곳에 살아 숨쉬고 있다.
올해 열린 산사음악회는 제8회를 맞아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행사로 자리매김했다. 풍물놀이, 가요, 마술 공연, 퓨전 국악, 뮤지컬 음악 등 다채로운 무대가 이어졌고, 절을 찾은 이들은 국수와 차를 무료로 대접받으며 따뜻한 정을 나눴다. 특히 약수암 보살이 직접 담근 만상 마늘고추장과 된장이 기념품으로 나눠져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천도재는 한국전쟁의 영웅 월튼 워커 장군과 그의 아들 샘 워커 장군을 기리기 위해 마련됐다. 월튼 워커 장군은 1950년 한국군 유엔 초대사령관으로 부임해 낙동강 전선을 지켜낸 인물이다. 당시 그는 “Stand or Die(죽음으로써 사수하라)”라는 명령으로 연합군을 결집시켜 위기를 극복했고, 이는 훗날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이어졌다. 그의 아들 샘 워커 장군 역시 아버지와 함께 한국전쟁에 참전해 우리나라를 지킨 ‘한국의 수호신’으로 불린다.
워커장군父子추모사업회 최문호 회장은 올해부터는 좀더 의미있는 추모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최근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는 제주 절물약수암에서 옥천 황룡사(주지 범홍 스님)그리고 최북단 강화도 선원사(주지 성원 스님)까지 이들 워커장군 父子를 비롯한 한국전쟁 참전 우방국 국민들을 위한 추모와 기념사업을 K-메모리얼 운동으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정치 포커스] 네팔 사태 강건너 불구경일까...봉건시대 왕도 국민을 배반하면 국민에 의해 무너지고?
- [정치] 美. 찰리커크 부인의 자유와 평화의 절규...내 영혼 속에 불타오르는 불길
- [봉성산 시론] 국회의사당보다 먼저 불태워야 할 것은 불의와 부패에 눈 감고 있는 국민 의식이다.
- [정치] 모스 탄 “주한美대사 임명 대기중, 트럼프 한국 관련 뭔가 준비… 이재명 범죄 증언 있다”
- [문화] 한국라오스교류재단·법무법인 성현, 새마을 정신, 문화 교류 법률지원 협약 체결
- [경제] 사회적기업 디자인마이러브, 세운6-4-1구역 재개발사업 참여
- [사회] 제13회 계란요리경연대회 및 제1회 알&닭 펫푸드 경연대회 개최
- [미디어] 특별 무료 이벤트 ‘꿈의 정원: 콘서트와 영화’ 서울 난지한강공원에서 개최
- [사설] 자유 민주주의와 인민 민주주의 전쟁...국민의힘 장동혁 결사항전 파이팅!
- [미디어] 부산영상위원회, 아시아-부산 아우르는 공동부스 운영
- [정치 이슈] AI 인공지능 이용한 조희대 대법원장 찍어내기...고든 창 이재명의 공선법으로
- [여행] 제주 에코랜드, 가을특집 ‘좀비트레인’ 오픈… 공포의 곶자왈 열차 출발
- [경제] 삼성전자, 국제 디자인 공모전 ‘IDEA 2025’에서 금상 2개 포함 총 47개 수상
- [출판] 마이클 샌델 교수, 이재명 대통령에 ‘정의란 무엇인가’ 전달… 공정·정의 담론 이어가
- [정치 포커스] 자유의 여정. 전화 한 통에 15초면 완료...더불어민주당 해산 국민대회의 참여 전화 한 통으로
- [봉성산 시론] 자연의 눈으로 본 한국의 자유와 민주주의
- [오늘의 시낭송] 정해란 시인의 문학노트 23) 바람의 시 7- 가을바람이 쓰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