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한국] 환자를 위한 AI 건강비서 퍼슬리(Persly)가 카카오톡의 신규 베타 기능인 ‘그룹챗봇’ 기능을 공식 론칭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론칭을 통해 이용자들은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톡 내의 개인 채팅방·단체방·팀 채팅방 어디서든 퍼슬리를 초대해 건강 관련 질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채팅방에 퍼슬리를 추가해 가족 모두가 함께 건강 관련 질문과 답변을 나누며 가족 주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식이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카카오톡 채팅방의 우측 상단 메뉴에서 ‘챗봇(beta)’를 선택하면 목록이 나오는데, 그중 퍼슬리를 추가해 초대할 수 있다. 이후 채팅창에서 ‘@퍼슬리 간암에 좋은 음식’과 같이 질문하면 퍼슬리가 채팅방 내에서 직접 답변을 제공한다.
퍼슬리는 AI 건강 비서 서비스로, 환자의 개인 진료·투약 기록을 10초 만에 연동해 이를 기반으로 증상 Q&A, 검사 결과 해석, 생활 습관 관리 등 다양한 질문에 맞춤형 답변을 제공한다.
퍼슬리의 가장 큰 강점은 접근성이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시니어 환자층도 별도 설치 없이 메신저 상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실제로 60대 이상 사용자층에서 가장 높은 재사용률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퍼슬리는 대학병원·보건복지부·국제학회 자료 등 공신력 있는 출처만을 기반으로 한 RAG 방식의 답변을 통해 종종 거짓말(할루시네이션) 현상을 일으키는 기존 AI 서비스와 차별화된다. 모든 답변에 문장별 출처가 함께 제공돼 사용자가 네이버에 다시 검색하며 답변을 팩트체크할 필요가 없다.
퍼슬리 남궁현 공동대표는 “이번 그룹챗봇 론칭은 환자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음성 모델 도입 등 시니어층의 접근성을 늘려가 환자들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AI 건강 파트너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 [문화] 시민과 함께 만든 한여름 밤의 댄스 축제 ‘2025 누구나 세종썸머페스티벌’ 참여형 축제의 성과 남겨
- [봉성산 시론] 돈오돈수로 보는 본질을 잃은 정치, 껍데기들이 일으키는 탐욕의 칼질만 난무하는 나라
- [미디어 포커스] 시민의 문화적 권리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키우는 문화정책 필요
- [생활 문화]서울패션위크에서 만나는 특별한 주얼리 팝업스토어 ‘SEOUL JEWELRY PICKS’ 오픈
- [문학] 김선영 시인의 의식의 발로에서 빛나는 시 한 편...끝단
- [정치] 나라 망신에 꼴불견...우원식 의장 중공 전승절 전망대 서열의 위치가?
- [문화포커스] 한일수교 60주년·광복 80주년 기념 일본국제아트페스티벌, 어린이 작품 부스 큰 주목
- [문화] 체인지아트그룹, 제6회 정기전 개최
- [문화] ‘2025 문화도시 박람회’ 5일 개막… 37개 전국 문화도시, 영등포에서 화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