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덕 시인.생명의 고향은 빛이다./햇살이 나뭇잎을 비추듯/눈을 감으면/과거, 현재, 미래의 일들
●이 눈꺼풀에 스쳐/영상처럼 떠오른다./색을 잃고 방황하지만/빛이 새어들면/다시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난다.
[미디어한국] 이탈리아 토리노 市에서 주최하는 '딜런 토머스 데이' 국제시 축제 행사에 본지 김종덕 박사 겸 문학예술위원의 詩가 소개되었다.
선정 게재된 시는 "빛"이다.
이탈리아 토리노 시에서 주최하는 ‘빛나는 등불의 딜런 토머스데이 2025(Shining Lanterns for Dylan Day 2025)’ 축제 행사에 ‘한국세계문학협회(Poems selected by Kang Byeong-Cheol, Korean Association of World Literature)’ 섹션이다.
웨일스의 시인 딜런 토머스를 기리는 국제 문학 기념일, 딜런 데이(Dylan Day, 매년 5월 14일)를 맞아 기획된 예술적 창작 프로젝트에 한국 문단의 시인들이 참여하고 있다.
빛나는 등불의 딜런 토머스 데이 2025(Shining Lanterns for Dylan Day 2025)’ 축제 행사는 웨일즈의 시인 "딜런 토머스"를 기리는 국제 문학 기념일인 딜런 데이(Dylan Day, 매년 5월 14일)를 맞아 기획된 예술적 창작 프로젝트이다.
문학융성의 빛의 자유에 대한민국의 민족의 문학 융성의 천손민족의 문화의 빛으로 "Light"다.
https://shininglanternsfordylanday2025.jimdofree.com/poems-for-dylanday-2025-10/
Kim, Jong Deog (poem)
●Light
The origine of life is light.
Like sunlight wrapping around leaves,
When I gently close my ey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brush against my eyelids
Appering like a film.
That is why darkness creates life.
Seeds awaken in the darkness,
And invisible dreams sprout,
And emerge as beautiful lights in the black soil.
When difficulties arise,
We taste despair and surrender ourselves to the dark world.
However, like roots in the ground,
The flow of time grows silently,
And as darkness settles and brilliant sunlight rises,
It is a flower that blooms in the darkness of life.
When it is not visible,
It loses its color and wanders,
But when light seeps in,
It blooms again as a beautiful flower.
Only then do we see ourselves,
And feel ourselves growing in ecstatic beauty.
Light is not turned on for personal glory.
Even deep in the dark forest,
I never knew how strong and beautiful a life I was.
When light comes to me and awakens life,
And spreads to my neighbors,
It brightens my heart and
Creates a greater life, a deeper ‘me.’
Flowers bloom not because they are happy,
But to overcome stromes, and cold,
And to rise wisely above hardship.
That is why seeds are born,
And those seeds carry life again,
To new ground and continue the world.
●Light
It is not merely brightness,
But the very birth of life.
●Biography
Kim Jong-deog (Ph.D. of Pharmacy, Korea)) is currently working as a pharmacist at a hospital after retiring from the professor of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e served as Vice President, Editor, and Editor-in-Chief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KSBB), and is a regular member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He has published two volumes of poetry (Go to the Way of the Sun!), (Birds Building a Nest on a Windy Day) and two volumes of essays (Longing Never Sheds Tears Without Waiting: Seoul Citizen Literary Award Grand Prize Winner), (Waiting In Itself Replaces Forgiveness: Dante Literary Association Grand Prize Winner). He has also published numerous books on antioxidants, anticancer, and biotechnology, all of which are related to his major. He is a member of the Yeosu Writers’ Association in Yeosu, and the co-representative of the Yeosu Culture and Arts Sharing Community in Yeosu, Jeollanam-do, South KOREA.
Into KOREAN ---
●빛
김 종 덕(대한민국, KOREA)
생명의 고향은 빛이다.
햇살이 나뭇잎을 비추듯
눈을 감으면
과거, 현재, 미래의 일들이 눈꺼풀에 스쳐
영상처럼 떠오른다.
그래서 어둠은 생명을 만들어 낸다.
씨앗은 어둠 속에서 깨어나고
보이지 않던 꿈이 움트며
검은 흙 속에서
아름다운 빛으로 돋아난다.
어려운 일이 생길 때
절망을 맛보며 검은 세상에 몸을 맡긴다.
그러나 땅속의 뿌리처럼
시간의 흐름은 조용히 자라
어둠이 가라앉고
찬란한 햇빛이 솟아오르듯
삶의 어둠 속에 피어나는
한 떨기 꽃이다.
보이지 않을 때는
색을 잃고 방황하지만
빛이 새어들면
다시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난다.
그제야 스스로가 보이고
황홀한 아름다움 속에서
자신이 자라고 있음을 느낀다.
빛은 개인의 영화를 위해 켜지지 않는다.
깜깜한 숲속에서도
자신이 얼마나 단단하고 아름다운
생명이었는지를 알지 못했다.
빛이 나에게 와서 생명을 틔우고
이웃에게 퍼지면
마음을 밝히고
더 큰 삶, 더 깊은 ‘나’를 만든다.
꽃이 피는 것은 즐거워서가 아니라
비바람과 추위를 견디며
어려움을 슬기롭게 벗어나기 위함이다.
그래서 씨앗이 생기고
그 씨앗은 다시 새로운 땅으로
생명을 전하고 세상을 잇는다.
빛—
그것은 단순한 밝음이 아니라,
생명의 탄생을 의미한다.
●한편 김종덕(약학박사) 작가는 전남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를 정년(전남대학교 명예교수)하고, 현재 병원 약사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생물공학회(KSBB) 부회장, 편집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국문인협회 정회원이다.
시집 두 권(『태양의 길로 가라!』), 『바람 부는 날 둥지를 트는 새들』, 수필집 두 권(『그리움은 기다림 없이 결코 눈물 맺지 않는다: 제2회 서울시민문학상 대상 수상작』), 『기다림은 그 자체로도 용서를 대신한다: 제1회 단테문학상 대상 수상작』)을 출간했다. 또한 전공과 관련된 항산화제, 항암제, 생명공학 등에 관한 다수의 저서를 출간하였고, 전라남도 여수시의 여수문인협회 회원이며, 여수문화예술나눔공동체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 [사회] 우리 함께 위로와 공감으로 따뜻한 봄과 마주해요…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살유족을 위한 회복캠프 ‘우리 함께 마주 봄’ 개최
- [경제] 삼성전자, 6년 연속 게이밍 모니터 글로벌 1위 달성
- [문학 포커스] 이탈리아 토리노 시에서 ‘빛나는 등불의 딜런 토머스데이 2025에 한국의 시인들 빛나는 축제의 詩...오선 이민숙 이사장의 詩가 각국의 언어로 게재
- 중랑구여성축구단, 서울시민리그 개막전 승리
- [국민의 소리] 재미 언론인 조광동의 준엄한 소리...자유 대한민국 "다시 일어 서십시오"
- [경제] 오토인사이드, 1분기 중고차 판매량 공개… 그랜저·제네시스 등 준대형 세단 중고차 시장에서 여전한 인기
- [사회] 우리 함께 위로와 공감으로 따뜻한 봄과 마주해요…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살유족을 위한 회복캠프 ‘우리 함께 마주 봄’ 개최
- [문학 인터뷰] 이현경 시인의 "나무의 시계"를 만나다...4월의 봄날에 연분홍 시적 설레임
- [문학 이슈] 이탈리아. 빛나는 등불의 "딜런 토머스 데이 2025"...한국 시인들 詩문학의 등불이 빛나
- [박주현 칼럼] 선관위의 ‘부정선거 예고 시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