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환자 중심 방문(재활)물리치료서비스 전환은 시대적 과제
[미디어한국]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이하 협회)는 22일 “의사의 처방 및 의뢰하에 시행되는 물리치료는 위험이 아니라 환자 안전의 기반”이라며, 최근 대한의사협회의 반대 입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협회는 "의협이 ‘의사의 처방 및 의뢰에 따른 물리치료는 위험하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국내외 의료현장과 WHO 권고 기준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의사의 처방 및 의뢰 기반 물리치료 체계는 환자 안전을 강화하고 국민 건강을 지키는 제도'라고 밝혔다.
■ 초고령사회 진입, 의료 패러다임 전환 시급
협회는 “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해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어설 전망”이라며, 병원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치료 중심에서 예방·재활·돌봄 중심으로 의료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방문(재활)물리치료, 낙상 예방·자립생활 유지 효과 입증
보건복지부의 ‘지역사회 돌봄통합(커뮤니티케어)’ 시범사업에서는 가정방문 물리치료가 기능 회복과 낙상 예방을 중심으로 시행되어, 방문간호·요양보다 입원율 감소와 자립생활 유지율 향상 효과를 보였다. 협회는 “복지부 자문과 지자체 협의를 거쳐 안전관리 지침과 교육과정이 이미 마련된 만큼, 방문(재활)물리치료의 안전성은 충분히 검증됐다”고 설명했다.
■ 정부 통계로 본 안전성 — 진료과 위험도 ‘최하위’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분석에 따르면, 물리치료사가 주로 활동하는 재활의학과의 진료위험도는 전체 진료과 중 최하위인 0.4%로 나타났다. 협회는 “산부인과(10.7%), 신경외과(9.8%), 외과(5.5%) 등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수치로, 물리치료는 비침습적이고 안전 중심의 재활서비스임을 정부 통계가 증명한다”고 밝혔다.
■ “환자 중심 의료개혁, 직역 갈등 아닌 협력이 필요”
협회는 현재에도 지역사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방문(재활)물리치료이 “초고령사회에서는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와 가정으로 찾아가는 체계가 필수적”이라며,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에게 방문(재활)물리치료는 병원 입원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인간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이 원하는 것은 직역 간 다툼이 아니라 접근 가능한 안전한 의료”라며, “의협은 이기적 직역주의를 멈추고 환자 중심의 의료 개혁 논의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협회는 “의료기사법 개정은 직역 확대가 아니라 환자 안전 확보와 의료의 진화를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 [정치 이슈] 서초동 실크로드 자유의 꽃길 탄생. 660여개의 화환에 자유의 꽃길 열려
- [국민 시론] Peter kim. 지구적 악惡의 축 중공. 희토류 전쟁...美 관세 100%추가 관세?
- [문화] 제17회 서울국제초단편영화제...배우 강애심 특별전 '줌인' 개최
- [서울이슈] 도심~남산 잇는 무장애산책로 '남산 하늘숲길' 개통… 시민·관광객 접근성↑
- [핫 포토] 국민의 통한의 눈물위에 빛나는 공산주의자들의 기쁨들
- [국감 포커스] 나경원. 빨간 완장의 민낮...사법 해체에 배임죄 폐지 주장의 실체는 이재명 무죄법 등장의 신호탄?
- [정치] 주진우 의원. 재판소원이 K-법률 강국? K-증거인멸 공개...그들의 게이트가 다 나와
- [이슈 현장] 동남아 캄보디아 실상...최소한의 인격 영격을 동물화 하는 탐욕의 일대일로의 중공 공산화 전략의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