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지훼손과 지반설계 無
●서울시의회 보류 판정

거리공원

[미디어한국] 서울 구로구 거리공원 지하에 공영주차장 건설을 놓고 구로구와 주민간의 대립이 극으로 치닫는 형국이다. 
구로구는 주차장 건설을 강행 하려하고, 주민들은 녹지훼손과 접근성이 떨어지는 졸속 행정이라며 대립하고 있다. 

구로구는 구로동 거리공원 지하에 200여대 주차가 가능한 공영주차장을 약 230억원을 들여 만들겠다고 밝혔다. 
구로거리공원 인근 먹자골목과 주택가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주차장이 필요하다는 이유다. 하지만 이를 반대하는 주민 목소리가 크게 나오고 있다. 

거리공원 위치도
거리공원 위치도

주민들은 주차장 건립이 ‘구청 독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근 주민 임씨는 “주민에게 충분한 설명도 하지 않고 녹지훼손과 국민 세금 수백억 원이 들어가는 공사를 이렇게 무리하게 추진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근처 먹자골목 상권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을 추진하겠다는 구의 의견에 대해서도 정작 상인회에서는 거리가 먼 지하주차장이 무슨 소용이냐며, 차라리 신도림테크노마트 지하주차장이나 오히려 접근성이 좋은 곳에 공영주차장을 만들었으면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 문제에 대해 2023년 12월 열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윈회에서도 ‘구로거리공원 지하공용주차장 조성사업 동의안’에 대해 주민 설명회 등 여론 수렴 과정이 빠졌다는 이유로 보류했다. 
이후 4월 열린 회의에서도 반대 주민을 설득하기 위한 구청의 노력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이유로 재차 보류되면서 구로구의 졸속 행정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구로구는 시의회 권고에 따라 지난 4월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반대의견을 내는 일부 주민에게 많은 시간을 할애, 주차장 신축의 필요성과 위치 규모의 적절성을 충분히 설명했다고 밝혔다. 
반면 반대측 주민들은 결론을 미리 정해 놓고 진행한 주민설명회가 사실상 소통 노력의 전부라며 주민과 제대로 소통하지 않는 밀실행정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1일 구로구청에서 열린 1차 주민협의회의에서 반대측 주민들은 거리공원 지하 주차장 부지는 주간선도로로 단절되어 인접 주민의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또한 현재 도심숲과 같은 녹지공간 파괴로 인한 복원불가, 지하주차장 수요자 조사에 대한 구청의 문제점 및 수요저하에 따른 노숙자 등 안전과 범죄 유발시설로 협오시설 우려, 주변 교통상황에 대한 검토 부재에 따른 사고 위험, 장기간 지하주차장 공사로 인한 통학 등의 위험과 대책, 연약지반에 대한 검토여부 등등이다.

또 구로구 유일의 도심 속 녹지공간인 거리공원을 벌목, 지하주차장 건설 이후 지금과 같은 숲으로 다시 만들겠다는 구로구의 말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측 주민들이 원하는 설명회를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라고 계속 거부하던 구로구가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지적 받고 나서야 실시한 주민설명회와 주민협의회도 결국 답을 정해 놓고 실시한 보여주기 행정이라는 것이다. 

봄이되면 거리공원에는 벚꽃 잔치가 열린다

끝으로 이날 주민협의회에서는 새로운 의혹이 불거졌다. 
문헌일 구청장이 장로로 있는 종교단체 건물이 거리공원에 들어서는 것에 대해 반대측 주민들은 진정 주민을 위한 주차장인지, 일부 종교를 위한 주차장인지 구청장이 직접 설명하라며 걱정과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해 주차장 건설을 찬성하던 주민들도 위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고 구로구에게 속았다며 동요하고 있다.

한편 현재 구로구는 거리공원 지하공영주차장 조성공사를 비롯해 항동 주거지 인접지에 허가한 데이터센터 3곳 건립과, 천왕동에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시설 착공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주민들과 계속해서 마찰을 빚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미디어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