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한국] 인간은 육안으로 감지할 수 없는 빛의 파장을 방출하는데, 이를 초미약 광자 방출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우리를 말 그대로 가벼운 존재로 만듭니다.
실제로 우리 몸은 생존을 위해 음식 형태로 응축된 햇빛을 지속적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음식에서 재활용된 태양 에너지는 빛과 전기의 통로인 미네랄을 통해서만 신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광물을 "빛의 주파수"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 @theneighbours2021Ⓡ
관련기사
- [사회] 공공 수영장에 수중 청소로봇 도입… 실시간 수질 개선
- [사회]용산구, 이태원 로컬브랜드 30선 공개
- [사회] 17만명이 찾은 ‘안양춤축제’…소비자가 뽑은 올해의 브랜드대상에 선정
- [칼럼] 박종도 박사. 소통(疏通)은 만사형통(萬事亨通)이다(1)
- [사회] 2025년 하반기 수원발 KTX 개통…부산까지 2시간 16분, 목포까지 2시간 10분 만에 도착
- [국제] 트럼프. 메드베드. 에너지 및 주파수 치유...메드베드 출시와 미래기술 지금
- [문화] 홍익자유민주주의의 나팔꽃이 피었습니다
- [칼럼] 박종도 박사. 소통(疏通)은 만사형통(萬事亨通)(두 번째)
- [칼럼] 박종도 박사. 소통(疏通)은 만사형통(萬事亨通)-(세 번째)
- [Hot photo] 지구. 인류 외 외계인의 존재해...은하연합의 시대 돌입